RSV 계절은 언제인가요?
일반적인 한국의 RSV 계절은 10월부터 3월입니다.3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나 온대 기후에서는 보통 겨울철에 발생하며, 이 시기를 RSV 계절이라고 합니다.2
RSV란 무엇인가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에 대한 이해
RSV가 신생아 및 영아에게 미치는 영향,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방식, 입원 가능성을 포함한 잠재적 위험에 대해 알아보세요.
부모님이 알아야 할 사항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는 아기에게 중증 하기도 감염을 포함한 호흡기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RSV는 가벼운 감기와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1
RSV는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 또는 접촉으로 인한 비말이 눈, 코 또는 입 안으로 들어가면서 전파됩니다.2
일반적인 한국의 RSV 계절은 10월부터 3월입니다.3
1세 이전의 신생아 및 영아 3명 중 2명은 RSV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4-6
RSV는 채 일주일도 되지 않아 감기와 유사한 증상에서 입원 치료가 필요한 상태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7
1세 미만의 신생아 및 영아에서 독감(인플루엔자)보다 RSV 관련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할 확률이 16배 더 높습니다.8
중증 RSV 질환은 드물지만, 1세 미만의 신생아 및 영아가 입원하는 주요 원인입니다.9
RSV 질환으로 입원 시 평균적으로 3~7일 정도의 입원 치료가 필요합니다.10
RSV는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 또는 접촉으로 인한 비말이 눈, 코 또는 입 안으로 들어가면서 전파됩니다.2
학교나 어린이집 같은 곳에서 RSV에 감염된 사람들로부터 아기에게 전파되어 감염될 수 있습니다.2
아기의 RSV 증상은 한꺼번에 나타나기보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에는 과민반응, 활동 수준 감소, 호흡곤란과 같은 호흡기 문제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7
RSV 계절은 언제인가요?
일반적인 한국의 RSV 계절은 10월부터 3월입니다.3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나 온대 기후에서는 보통 겨울철에 발생하며, 이 시기를 RSV 계절이라고 합니다.2
1세 미만 신생아 및 영아의 RSV 질환으로 인한 입원
RSV는 12개월 미만의 신생아 및 영아가 병원에 입원하는 주요 원인입니다.9
RSV로 입원한 신생아 및 영아의 70~100%는 건강한 만삭아로 태어납니다.11-16
아기가 RSV로 병원에 입원하면 호흡을 돕기 위해 산소요법, 정맥 수액요법 및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9
미숙아나 다른 건강 문제가 있는 아기에게 RSV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9
아기가 RSV에 감염되면 언제 증상이 나타는지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고 언제 병원에 데려가야 하는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7,9
경우에 따라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이어져 호흡곤란과 같은 심각한 하기도 감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기가 지속적인 구토와 배뇨 감소(예: 12시간 이상 기저귀를 적시지 않는 경우)와 같은 탈수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도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극심한 호흡곤란을 겪거나 웅얼거리는 소리를 내거나 심각한 통증의 징후를 보이는 경우 주저하지 말고 즉시 의료기관 또는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RSV는 전염성이 강한 호흡기 바이러스이므로 질병관리청 및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격리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2,17
RSV의 '전염 기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영유와 면역 체계가 약한 사람은 증상이 없어진 후에도 4주까지 바이러스를 계속 퍼뜨릴 수 있습니다.
일상적인 예방 수칙을 준수하면 RSV의 전파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씻지 않은 손으로 눈/코/입 만지지 않기, 증상이 있는 아픈 사람은 집에 머무르기 등이 포함됩니다.
아기가 RSV로 입원하거나 신속하게 의료 도움을 받을 수 없는 경우, 가족들은 많은 스트레스와 걱정을 느끼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RSV에 대해 이야기하고, 신속하게 도움을 받고, 가족들이 RSV의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18
RSV, 독감, COVID-19는 서로 다른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이지만 증상만으로는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1,7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기는 면역 체계가 발달하지 않아 바이러스를 처음 접했을 때 보호하는 데 필요한 항체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RSV 질환의 위험에 특히 취약합니다.
이러한 취약성은 심각한 호흡기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아기의 건강을 위해서는 RSV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9
RSV 감염이 하부 호흡기로 퍼지면 기도에 염증이 생겨 아기가 숨쉬기 어려워져 폐렴과 모세기관지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7,19
모세기관지염은 폐의 가장 작은 기도(모세기관지)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모세기관지가 부어 염증이 생기면 점액이 쌓여 울혈 및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폐렴은 경증에서 중증의 기침, 발열,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는 폐 감염입니다.
네, RSV에 두 번 이상 감염될 수 있습니다.21
첫 번째 노출로 어느 정도 면역력이 생길 수 있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재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호자는 특히 RSV가 유행하는 계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아기에게 호흡곤란이나 RSV 질환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7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eferences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About RSV. Available at: https://www.cdc.gov/rsv/about/index.html. Accessed: Nov 2024.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How RSV Spreads. Available at: https://www.cdc. gov/rsv/causes/index.html. Accessed: Nov 2024. 3. 예방접종지침서 제10판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21; p.324 to p.332. 4. Chatterjee A et al. Infect Dis Ther. 2021;10:S5–S16. 5. Glezen WP et al. Am J Dis Child. 1986;140:543–546. 6. Walsh E. Clin Chest Med. 2017;38(1):29–36. 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Symptoms and Care of RSV. Available at: https://www.cdc.gov/rsv/symptoms/index.html. Accessed: Nov 2024. 8. Zhou H, et al. Clin Infect Dis. 2012;54(10) 1427-1436. 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RSV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vailable at: https://www.cdc.gov/rsv/infants-young-children/index. html. Accessed: Nov 2024. 10. Wi PH, et al. Allergy Asthma Respir Dis. 2020 Oct;8(4):213-219. 11. Demont C et al. BMC Infect Dis. 2021;21(1):730. 12. Sanchez-Luna M et al. Curr Med Res Opin. 2016;32(4):693–698. 13. Kobayashi Y et al. Pediatr Int. 2021;64(1):e14957. 14. Hartmann K et al. J Infect Dis. 2022;226(3):386–395. 15. Thwaites R et al. Eur J Pediatr. 2020;179(5):791–799. 16. Arriola C et al. J Pediatric Infect Dis Soc. 2020;9(5):587–595. 17. 질병관리청 국가건 강정보포털. 우리 아이 감기 증상, 혹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Available at: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ntcnInfo/healthSourc/thtimtCntnts/thtimtCntntsView.do?thtimt_cntnts_sn=45. Accessed: Nov 2024. 18. Fusco F,et al. Rand Health Q. 2022 Nov;10(1):2. 19. Meissner HC. N Engl J Med. 2016;374(1):62–72. 21. Kutsaya A, et al. Epidemiol Infect. 2016 Jun;144(8):1622-1633. 22. 베이포투스주(니르세비맙) 국내 허가사항(2024.04.30). 2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RSV Vaccine Safety. Available at: https://www.cdc.gov/vaccine-safety/vaccines/rsv.html. Accessed: Nov 2024.
베이포투스주의 주 성분 또는 첨가제에 대해 아낙필락시스 등의 중증의 과민반응의 이력이 있는 경우 베이포투스주를 투여해서는 안 됩니다.
자녀가 베이포투스주를 투여받기 전 의료진에게 다음과 같은 자녀의 모든 의학적 상태를 알려야 합니다.